{% if category.name %} {% endif %} {% if request.path == '/rss' %} {% endif %} 전세금 안전하게 지키는 법, 전세권 설정 절차 완벽 가이드
 

전세금 안전하게 지키는 법, 전세권 설정 절차 완벽 가이드

전세보증금 떼이지 않으려면? 전세권 설정 필수 이유


전세권 설정이란? 기본 개념부터 확실하게 이해하기

"전세권은 임차인의 권리를 법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장치입니다."

전세권이란 임차인이 등기부에 직접 전세금 반환 청구권을 설정하는 권리입니다.
즉, 임대차 계약이 끝난 후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 법적 수단이 되는 것이죠.

  • 일반 임대차는 '대항력'과 '우선변제권'만 있음
  • 전세권은 '경매 청구권'이 있어 훨씬 강력함
  • 등기부등본에 임차인의 권리가 명시됨

전세 사기나 보증금 미반환 리스크가 커진 지금, 전세권 설정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전세권과 확정일자의 차이, 헷갈리지 마세요!

항목 전세권 확정일자

법적 효력 등기되어 경매 청구 가능 우선변제권만 있음
등기부 등본 표시 있음 없음
보증금 회수 안전성 매우 높음 상대적으로 낮음
설정 비용 존재 없음 (무료)

많은 분들이 확정일자만 받아두면 된다고 오해하십니다.
하지만 확정일자는 우선순위에서 밀릴 수 있으며,
채권자가 많을 경우 보증금 일부만 돌려받을 수도 있습니다.

반면, 전세권은 단독 경매 청구 가능, 보증금 회수가 보다 확실합니다.


실제 전세권 설정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순서대로 따라가면 어렵지 않습니다.

  1. 전세계약서 작성 (전세권 설정 의사 포함 명시)
  2. 등기소에 전세권 설정 등기 신청
    • 필요한 서류: 전세계약서, 인감증명서, 등기신청서, 수수료 등
  3. 등기 완료 후 등기부등본에 전세권 기재 확인
  4. 임대인의 동의 또는 협조 필수 (소유자가 동의하지 않으면 설정 불가)

중요한 건, 등기 전까지는 전세권이 법적으로 효력이 없다는 점입니다.
반드시 등기소에서 공식 등기까지 완료해야 진짜 보호가 시작됩니다.


전세권 설정 시 꼭 챙겨야 할 3가지 체크리스트

  • 전입신고는 별도로 필수: 전세권과 전입신고는 각각 별도의 효력
  • 등기부등본에 전세권 명시 여부 확인
  • 임대인의 근저당권 등 기존 권리관계 확인

특히, 이미 설정된 담보가 있다면 보증금이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계약 전 등기부등본을 꼼꼼히 확인하세요.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는 첫걸음은, 임대인의 부채 상태 확인입니다."


비용은 얼마나 들까요? 전세권 설정 비용 총정리

항목 금액

등록세 전세금의 약 0.2%
교육세 등록세의 20%
등기신청 수수료 약 1만~2만원
법무사 수수료 (선택사항) 약 10만원 내외

예: 전세금이 1억일 경우, 등록세 2만원 + 교육세 4천원 + 기타 포함 약 3~5만원 수준입니다.
법무사를 이용할 경우 최대 15만원까지 예상하셔야 합니다.

"전세보증금 수천만원을 보호하는 장치로는 아주 저렴한 투자"입니다.


시나리오로 보는 전세권 설정의 위력

  • 상황: 임대인이 계약 만료 후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음
  • 확정일자만 받은 임차인: 보증금 일부만 돌려받음 (후순위)
  • 전세권 설정한 임차인: 경매 청구 후 보증금 전액 회수

이처럼 전세권은 채권자가 많아져도 우선적으로 회수할 수 있는 강력한 수단입니다.
특히 갭투자 많은 지역일수록 필수입니다.


전세권 설정 꺼리는 집주인? 이렇게 대처하세요

Q. "집주인이 전세권 설정을 거부해요. 어떻게 하죠?"

A. 아래와 같은 논리로 설득해보세요.

  • 전세권은 임차인의 권리 보호를 위한 최소한의 장치
  • 임대인도 명확한 계약 관계로 불필요한 분쟁 예방 가능
  • 요즘처럼 전세사기 많은 시기에 신뢰 확보 수단

그래도 거부한다면, 해당 매물은 피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보증금 보호가 안 되는 집은 계약하지 않는 것이 정답입니다."